WEEKLY INSIGHTS
-
하기 싫어도 하는 마음WEEKLY INSIGHTS 2025. 6. 5. 08:25
[예상되는 보상]미국의 유명 신경과학자 앤드류 휴버만의 연구에 따르면, 우리 뇌는 '예상되는 보상'에 가장 강하게 반응한다고 합니다. 열심히 공부해서 얻을 수 있을 것이라 '예상하는' 높은 점수, 열심히 운동해서 '얻을 수 있는' 멋진 몸에서 가장 높은 도파민이 나온다는 것이죠. 우리가 생각하는 전통적인 '노력 - 보상' 방식은 목표 달성 후에 집중합니다. 하지만 노력에 따른 보상이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면, 예상에 비해 그 보상의 크기가 작다면 흥미와 의욕은 사라지고, 꾸준해지기는 어려워질 것입니다. [과정 자체를 보상으로 재정의하기]앤드류 후버만이 말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'과정 자체를 보상으로 재정의'하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, 운동 후 몸이 개운해지는 느낌, 책을 읽은 후 새로운 지식을 ..
-
구조조정은 회사를 살릴 수 있을까?WEEKLY INSIGHTS 2025. 5. 29. 08:12
최근 LG화학에서 구조조정한다는 소문이 블라인드에서 돌았고 회사는 이를 사실이 아니라 밝혔습니다. 하지만 이는 어두운 회사 상황을 잘 보여줍니다. 최근 NC나 KT와 같은 큰 기업에서도 대규모 구조조정이 있었고 삼정KPMG에선 24년을 기업회생 및 파산 숫자가 역대 최고치라고 밝히기도 하였습니다. https://alphabiz.co.kr/news/view/1065603761515476 [현장] LG화학, 고강도 인력 구조조정 소문에 “전혀 사실 아니야” 일축“42세 이상 비직책자 대상 희망퇴직 실시”“워터솔루션 매각 추진, 대금으로 재원 충당”“지방 사업장 통합 및 스텝 조직 슬림화 추진”alphabiz.co.kr [구조조정을 하면 회사는 살아날까?]한 조사에 따르면 구조조정을 시행한 기업 중 40%는..
-
주인공 병에 걸리면WEEKLY INSIGHTS 2025. 5. 23. 13:04
지금 사회는 끊임없이 우리에게 '주인공'이 되라고 말하는 것 같습니다. 평범했던 직장인이 갑자기 돈 잘 버는 대표가 되고, 작고 조용했던 브랜드가 갑자기 대박을 내는 이야기들이 유튜브에서 쏟아져 나옵니다. 중요한 건 이야기의 맥락이 아니라 결말입니다. ‘어떻게 했는가?’보다 ‘나라고 못할까?’라는 감정이 앞섭니다. 아예 멀어 손에 닿지 않는 것보다, 손에 닿을 듯 말 듯한 거리에 있는 목표가 사람을 더욱 미치게 만듭니다. 그렇게 우리는 '곧 내가 될 수 있을 것 같은 평범한 누군가'를 바라보며, 어느새 나 또한 주인공이 되어야 한다는 무언의 압박을 받습니다. [주인공 병의 폐해]'주인공 병'에 걸리면, 객관적 통계와 확률을 무시한 채 '나는 다를 것이다'라는 논리를 적용합니다. 주변 사람들이 말려도 사..
-
마음의 문은 밖에서 열리지 않는다WEEKLY INSIGHTS 2025. 5. 22. 08:21
소비자는 더 이상 광고를 믿지 않습니다. 아무리 세련된 메시지도 ‘광고’라는 사실이 드러나는 순간 본능적으로 거부 반응을 보입니다. 크리에이터들이 ‘내돈내산’을 강조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는데요. 우리는 누군가가 나를 움직이려 할 때, ‘통제당한다’고 느끼고 격렬히 저항하기 때문입니다. 마케팅은 강요하거나 설득하는 기술이 아닙니다. 소비자가 스스로 선택하도록 만드는 대화에 가깝습니다. 이 말인 즉, 마케팅을 단순히 형식과 숫자 아닌 사람에 대한 이해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뜻입니다. [스픽과 가나 초콜릿의 차이]문제는 많은 브랜드가 이 흐름을 오해합니다. 소비자와의 관계를 맺겠다고 하며, 실제로는 형식적인 접근에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. '요즘 스레드가 뜬다니까 우리도 해보자’, ‘다들 인플루언서 쓰니까 우..